정부는 2025년에도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전기차 구매 시 국고 및 지자체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만 올해부터 보조금 차등 지급 기준이 강화되고, 고가 차량에 대한 지원이 제한되는 등 중요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기차 보조금의 기본 개념부터 신청 방법, 주요 차종별 지원금, 지자체별 차이점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국고 보조금 지원 기준 (2025)
- 보조금 상한: 최대 680만 원 (차종별 차등)
- 기준가: 출고가 5,700만 원 이하 차량만 전액 지원
- 5,700만~8,500만 원 차량은 보조금의 50%만 지원
- 8,500만 원 초과 차량: 보조금 미지원
이는 보급형 전기차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강화하고, 고가 차량에 대한 예산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 차이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 예산에 따라 달라지며, 국고 보조금과 중복 수령이 가능합니다.
지자체 | 지원금(예시) | 비고 |
---|---|---|
서울특별시 | 최대 200만 원 | 1인당 1대 지원 |
부산광역시 | 최대 180만 원 | 선착순 마감 |
강원특별자치도 | 최대 300만 원 | 지역주민 우선 |
Tip: 지역별 지원금은 상반기/하반기 차이가 있으며, 조기 마감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빠른 신청이 중요합니다.
🚗 주요 전기차 차종별 보조금 비교
- 현대 아이오닉 6: 국고 약 650만 원 + 서울시 약 200만 원
- 기아 EV6: 국고 약 630만 원 + 지자체별 상이
- 쉐보레 볼트 EUV: 국고 약 680만 원 (최대치)
차량별 전비(연비 대비 전기 효율), 주행거리, 가격 등이 보조금 책정 기준에 포함되므로, 출시 연도와 사양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
- 구매 계약 체결 (보조금 공고 확인 후 가능)
- 환경부 전기차 통합포털 (ev.or.kr) 접속
- 보조금 신청서 작성 및 제출
- 승인 후 차량 등록 및 보조금 지급
차량 출고 전 신청을 완료해야 하며, 중복 신청 또는 허위 기재 시 지급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지금이 전기차 구매의 적기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제도는 친환경차 확산과 대기질 개선을 목표로 점차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국고 + 지자체 보조금을 합산하면 최대 880만 원 이상의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지금이 적기입니다.
지역별 예산 소진이 빠르기 때문에 관심 있는 분들은 조속히 전기차 통합포털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