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을 제외하고 수많은 알트코인의 대장주는 단연 이더리움입니다 그런데 코인 초보자들에게 이더리움의 존재를 알지만 도대체 이더리움클래식은 무엇인지 어려워합니다 그래서 이번시간에 이더리움과 이더리움클래식 차이점과 이렇게 뉘게 된 하드포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더리움
최초의 암호화폐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POW(작업증명)방식을 이용하여 비트코인을 만들고 거래하게 됩니다 그런데 사토시 나카모토는 비트코인을 개발할 때 일정한 블록사이즈와 채굴방식으로 일정한 시간 블록이 생성되고 체인에 연결되어 거래가 이루어지게 설계하였습니다
문제는 비트코인을 통해 거래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거래량이 많아지면 속도가 느려지고 그에대한 수수료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됩니다
정해진 블록사이즈는 다시 풀어 말하면 일종의 데이터용량과 같아서 거래내역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비트코인 재단에서 활동하던 청년 비탈릭 부테린은 비트코인 시스템에 여러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없는 한계점을 느끼고 비트코인을 모티브로 스마트컨트랙트 기술 등 진화한 형태의 이더리움을 만들게 됩니다
이더리움과 이더리움클래식
비탈릭부테린이 만든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 기능은 물론, 이더리움 가상머신을 통해 개발자들에게 마음껏 자신만의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면서 수많은 알트코인 프로젝트가 이더리움을 통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명실상부 최초의 블록체인 플랫폼의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
이더리움클래식과 이더리움 서로 다른 암호화폐로 기존 이더리움에 심각한 해킹공격으로 이더리움 생태계에 큰 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고 비트코인의 모습 같이 고유한 이더리움의 모습을 지키는 사람들로 나뉘게 되면서 하드포크를 통해 지금의 이더리움이 새롭게 만들어지고, 기존의 이더리움 시스템은 이더리움클래식이 된 것입니다
이더리움은 증명방식을 POS(지분증명) 바꾸는 등 계속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며 암호화폐 업계에 막강한 인지도를 구축한 반면, 이더리움클래식의 경우 존재감이 부족하지만 지금은 몇 안 되는 채굴 형태의 코인으로 남아 있습니다
하드포크 개념 첨부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많은 코인 프로젝트들이 생겨나면서 수 많은 하드포크가 많이 있어 왔습니다 그 대표적인 하드포크가 바로 위에서 언급한 이더리움과 이더리움클래식으로 나뉜 형태입니다
그럼 도대체 암호화폐 하드포크가 무엇인가?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면 주기적으로 윈도우 운영체제가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것을 보게 됩니다 또한 기존의 프로그램에 문제점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업데이트를 합니다
이처럼 블록체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나 업데이트 하는것을 하드포크라고 합니다 간단한 하드포크의 경우 기존의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약간의 기능추가나 보안업데이트 등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하드포크가 필요한 상황에서 해당 코인 생태계 참여자들의 의견이 극도로 갈라지게 되면 전혀 다른 블록체인을 만들어 나뉘게 되는 큰 변화를 맞이하기도 합니다
하드포크를 통해 체인이 갈라지는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탈중앙화 철학에 기인하고 있다고 봅니다 한 개인의 독단적인 판단으로 생태계가 좌지우지되는 것이 아니고, 커뮤니티 투표로 생태계 미래를 결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이더리움과 이더리움클래식이 하드포크를 통해 나뉘게된 경위를 알아봤습니다 어찌 보면 황당해 보이기도 하지만, 다르게 보면 상당히 민주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